스칼라, 벡터, 행렬
정의
- 스칼라 : 하나의 수치만으로 표현되는 숫자
- 벡터 : 순서가 정해진 숫자들의 집합(순서가 없다면 Set). 열 벡터와 행 벡터로 나뉜다.
- 행렬 : 2차원 벡터
열 벡터(Column Vector)와 행 벡터(Row Vector)
한 개의 열을 갖는 n x 1 크기의 벡터를 열 벡터, 한 개의 행을 갖는 1 x n 크기의 벡터를 행 벡터라고 한다.
행 벡터는 보통 열 벡터의 전치(transpose)로 나타낸다.

행렬 표기
- Square matrix : n x n 크기를 갖는 정방형의 행렬을 square matrix라고 한다.
- Rectangular matrix : n x m(n != m)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 모양의 행렬을 rectangular matrix라고 한다.
- 행렬의 전치 : 행렬의 윗첨자로 T로 표기하며 행렬의 주 대각선을 기준으로 행과 열을 뒤바꾸는 연산을 전치라고 한다.
행렬의 연산
행렬 덧셈(C = A + B)
A 행렬과 B 행렬의 크기가 같을 때 수행할 수 있으며, 각 자리에 있는 요소들끼리 더하는 연산이다.
행렬의 스칼라곱(cA, cB, c는 상수)
스칼라값과 행렬을 곱하는 연산으로, 행렬의 각 자리에 스칼라값을 곱하는 연산이다.

행렬곱(C = AB)
크기가 (i, k)인 행렬 A, 크기가 (k, j)인 행렬 B를 행렬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.
(1, 1)부터 (i, j)까지 AB(x, y)의 자리에 A의 x번째 행 [a1, a2, a3, ..., ak] 와 B의 y번째 행 [b1, b2, b3, ..., bk]의 값을 하나씩 곱해서 모두 더한 값을 구하면 행렬곱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.


결과로 나온 행렬곱은 (i, j)의 크기를 갖는다. 또한, 행렬곱 연산은 교환법칙이 성사하지 않는다.(not commutative)
행렬 연산의 교환법칙, 결합법칙
- 행렬곱의 분배법칙(distributive)
A(B+C)=AB+ACA(B+C)=AB+AC
- 행렬곱의 결합법칙(associative)
A(BC)=(AB)CA(BC)=(AB)C
- 전치의 분배법칙
(AB)T=BTAT(AB)T=BTAT
- 역행렬의 분배법칙
(AB)−1=B−1A−1(AB)−1=B−1A−1
선형시스템과 선형방정식
선형방정식
계수 aiai와 bb가 모두 알려진 실수 혹은 복소수이고,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는 방정식을 선형방정식이라고 한다.
a1x1+a2x2+...+anxn=ba1x1+a2x2+...+anxn=b
그리고 위의 식은 다음과 같이 행렬곱으로 표현할 수 있다.

aTx=baTx=b
선형시스템은 한개 또는 그 이상의 선형방정식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이다.
항등행렬(Identity Matrix)
항등 행렬이란 대각선의 요소가 모두 1이고 나머지는 모두 0인 정방행렬(square matrxi)이다.

어떤 행렬 x와 항등 행렬 I를 곱햇을 때, 행렬 x가 그대로 보존된다.
Inx=xInx=x
역행렬(Inverse Matrix)
어떤 정방행렬 A에 대해서, 다음과 같은 관계를 만족하는 행렬을 A의 역행렬(A−1A−1)이라고 한다.
A−1A=AA−1=InA−1A=AA−1=In
2 x 2 행렬에 대해서, A=A=(abcd)(abcd) 이 행렬의 역행렬 A−1A−1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.
A−1=1ad−bc[d−b−ca]A−1=1ad−bc[d−b−ca]
역행렬의 판별
어떤 행렬 A가 역행렬을 갖는다면 이 성질을 invertible이라고 한다.
위 식에서 분모에 있는 값 ad−bcad−bc를 A의 determinant라고 하며, detAdetA로 표기한다. 만약 어떤 행렬 A의 determinant값이 0이라면 그 행렬은 역행렬을 갖지 않는다.
선형시스템 예시(역행렬을 사용한 선형방정식 풀이)

위와 같은 세개의 선형방정식에서 계수들을 모아 행렬 A를 만들 수 있다.

이와 같이 x값들의 벡터, 상수들의 벡터 b도 만들 수 있다.

이렇게 변환된 행렬들로 여러 개의 선형방정식을 하나의 행렬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.

위에서 설명했듯이, 어떤 행렬 A와 역행렬 A−1A−1의 행렬곱은 항등행렬 InIn이 되는 성질과 행렬 A와 항등행렬 InIn의 행렬곱의 결과는 A로 유지된다는 성질을 이용해 행렬방정식의 해를 구할 수 있다.
Ax=bAx=b
A−1Ax=A−1bA−1Ax=A−1b
Inx=A−1bInx=A−1b
x=A−1bx=A−1b
해가 없거나 여러개인 선형시스템
행렬식 Ax=b에서 A가 역행렬을 갖지 않는다면(non-invertible), x는 해가 존재하지 않거나 무한개의 해를 갖는다.

예를 들어, 위 행렬시스템에서 미지수는 3개(몸무게, 키, 흡연여부)이고, 주어진 행렬방정식 또한 3개이다.
만약 미지수의 숫자와 행렬방정식의 갯수가 다르다면 어떻게 될까?
- 미지수 > 행렬방정식 갯수
보통 무한개의 해가 존재하며, under-determined system이라고 한다.
- 미지수 < 행렬방정식 갯수
보통 해가 존재하지 않으며, over-determined system이라고 한다(least square와 연결된다).
'수학 > 선형대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선형 결합, 선형 독립, 기저와 차원 (0) | 2025.02.19 |
---|